[스크랩] [16일 출석부]겨울철 식물관리
이제 겨울철이 되니 야외에 있던 식물이 하나씩 실내로 들어 올때 입니다.
실내로 들일 때는 필히 살충제를 하루 전에 뿌려서 식물에 들어있는 벌래 유충과 알을 방제 후 실내로 들이시기 바랍니다.
1. 아래 기온에 따라서 하나씩 다 관리하기 힘드니 빛 이 직접 드는 곳 에는 고온성 식물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요즘처럼 기온이 내려가는 때에도 문을 활짝 열어두어 추위에 조금씩 적응을 시키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2. 겨울철 물주기는 아주 중요한데 수돗물을 받아 바로 줘버리면 너무 차가워서 뿌리가 녹아 버릴 수 가있답니다.
물을 받아뒀다가 실온과 같은 기온이 되면 물을 주되 이른 아침과 저녁은 피해 주 는 것이 좋다.
3. 추운 겨울에도 하루에 한번씩 은 통풍을 시켜줘야 해충 예방에 좋고 튼튼히 잘 자란다고 합니다.
잎사귀의 먼지는 잘 닦아주시고 바쁘시면 미지근한 물로 스프레이를 하여 대처해도 좋다.
4. 갑자기 추위가 닥치면 실내로 들이기 힘드실 때는 신문지 혹은 비닐을 한장정도 덥어주면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5, 무가온 하우스에 준비가 안된 추위가 닥칠 때에는 사기화분을 꺼꾸로 한 상태에 5W~10W정도의 전구를 켜두면 3~4도의 온도 상승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6. 땅에 심겨진 식물은 강추위가 올때 왕겨 같은 것을 태워서 연기를 피워주면 저온피해를 줄여줍니다.
1순위 (최저온도 0도)
l 그랍토페탈룸속 : 용월,홍용월, 석연화, 연봉, 프리티, 발디, 흑괴리,헤리왓슨(홍월령),고스티, 벨루스, 펜타드럼, 프리티브론즈, 프리티루비, 원종프리티, 실버스타, 아메트롬(홍포도
l 두들레야속 : 선녀배, 환엽선녀배, 두들레야 그리니, 풀버루렌타 아리조니카, 누비제나, 크산티, 알비플로라, 에둘리스, 하세이, 캐스피토사
l 파우카리아속 : 사해파, 미파, 경파, 황파, 노도황파, 요술꽃(장염, 조파) (-4도 이상, 겨울이성장기)
l 가스데리아속 : 자보 (-5도 이상)
문주란, 달개비류, 고무나무, 쟈스민, 피닉스야자, 쉐프렐라(홍콩야자), 시클라멘
제라늄, 유카, 율마, 소철, 군자란
@ 군자란은 저온처리 0~5도 정도를 해주어야 봄에 정상적인 개화를 볼수 있습니다.
====================================================================
2순위 (최저온도 5도 이상)
l 에케베리아속 : 정야, 라우이, 라우린제, 엘레강스, 구미리, 구미무, 특엽옥접, 상부련, 칠복수, 칠복신, 치와와엔시스, 치와와린제, 대화금, 정야, 블랙프린스, 초연, 금사황, 금황성, 백금황성(프로스티), 부영, 양로, 도리스테일러, 사비아나, 홍사, 홍치아, 크리스마스, 캡틴헤이, 런요니, 푸미라, 천마리학, 고사옹, 홍화장, 상학(파리다), 파우더블루, 룬데리, 라벤더힐, 군월관, 미니벨, 레즐리, 군월관(백장단,스프링제이드), 라일락, 라일라시아, 릴리시아, 매혹의창, 데비, 데스메치아, 크리스마스, 들장미의정령(멕시켄시스), 골든글로우, 스프루스올리버(홍휘전), 바이올렛퀸, 비치프리데, 로라, 줄리아, 캡틴헤이, 꽃돗단배, 꽃뗏목, 꽃아카다, 이리아(크리스탈), 백모단, 클라라, 미니마, 루브라, 그림원(어그린원, 에이그림원), 프리린제(폴리린드사야나), 캉캉, 욱학, 로잘리스, 브라운슈거, 왈폴레아나, 에메랄드 리플(론에반스), 홍학, 카시즈, 메비나, 알비칸스, 블랙나이트, 흑조, 알프레드그라프, 아가보이데스(동운)
l 파키피텀속 : 천대전송, 성미인, 월미인, 동미인, 경미인, 청성미인, 그리니, 서리의아침(상조), 군작, 입전, 자려전
l 세덤속(세덤속이 2순위중 가장 취약) : 홍옥, 청옥, 오로라, 구슬얽이, 황려, 명월(첨후엽변경), 라울, 을녀심, 애심, 리틀쨈, 레티지아(쨉), 청솔, 부사, 스노우제이드(한메리,옐로헌버트), 팡파레, 녹초롱, 리틀장미, 송록, 환엽송록, 코믹톰, 옥련, 녹귀란, 세덤브라우, 스탈리, 은설
l Anacampseros : 취설송(월동온도 1도, 겨울 휴면기 4도이상)
산세베리아(건조하게 아주 건조하게), 산호수, 아나나스, 란타나, 호야, 네프롤레피스(보스톤고사리), 틸란시아계, 제브리나, 사랑초(구근이 생긴아이.) 자카란타, 킹스멘톨,아마릴리스,
====================================================================
3순위 (10도 이상 4월 이후 노숙 요망)
l 에오니움속 : 까라솔, 흑법사, 아놀디, 다솔, 썬버스트, 문버스트, 번뇌금, 로즈흑법사, 일월, 명경,
l 카랑코에속 : 당인, 선녀무, 백은무, 호접무, 월토이, 흑토이, 백토이, 엔젤램프, 희호접, 밀로티, 팡, 세무리아, 백호
l 크라슐라속 : 화제, 염좌, 기천, 무을녀, 성을녀, 우주목, 천탑, 언성, 애성, 사마로, 은서, 천구지무, 남십자성, 레모타, 약록, 은행목, 신도, 사라멘토사, 백로, 퓨베센스, 아보레센스, 로게르시
l 코딜레논속 : 복랑, 웅동자, 은파금, 가입랑 (5도)
l 세네시오속 : 은월, 자만도, (10도 전후)
벤자민, 봉황목, 호접란, 개운죽, 베고니아, 테이블야자, 바이올렛, 싱고니움, 트리안,
알로카시아,
관엽식물의 생육적온은 18~24℃
실내에서 인간이 쾌적하게 활동하는 습도는 50% 정도 이고 식물 생육에 알맞은 습도는 70~90%정도이다. 그러나 난방기구를 작동하는 가을철의 실내습도는 20%까지 내려가는 일이 빈번하고 이같이 낮은 습도는 식물 뿐 아니라 인간에게도 기관지염 같은 장애를 일으킨다. 습도가 35%이하로 내려가면 식물의 증산작용이 강제로 증가돼 잎은 수분을 잃고 늘어지며 결국은 말라서 낙엽이 지게 되므로 실내습도를 항상 35% 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